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08)
    • 개발사업 (333)
      • 산업단지 (165)
      • 주택사업 (88)
      • 도시개발사업 (14)
      • 지구단위계획·개발행위허가 (11)
      • 오피스 (3)
      • 리테일 (6)
      • 물류·데이터센터 (8)
      • 인허가 (7)
      • 부담금·비용 (20)
      • 공급처리시설 (7)
      • 관광시설 (1)
      • 마케팅 (2)
    • 도시이야기 (54)
      • 부동산A2Z (2)
      • 서울대장아파트 (17)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9)
      • 도시계획산책 (11)
      • 도시비평 (4)
    • 일반&이슈 (38)
    • 정책·제도 (86)
    • 법률·세금 (48)
    • 부동산 (6)
    • 토지 (18)
    • 환경교통재해 (33)
    • 금융 (109)
      • 리츠 (16)
      • 투자 (47)
      • 자산운용 (46)
    • 지역 알아보기 (14)
    • 건강·지구환경 (4)
    • 기업&사람 (17)
    • 도시계획기술사 (17)
    • 중개 경매 (4)
    • 용어 (21)
    • 기술 (8)
    • 통계자료 (96)

검색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시험

  • 클라인가르텐 - 도시계획기술사 99회 1교시 13번 해설

    2013.12.27 by 도시연구소

  • 생태맹 - 도시계획기술사 99회 1교시 12번 해설

    2013.12.27 by 도시연구소

  • 베이비붐 세대 - 도시계획기술사 99회 1교시 11번 해설

    2013.12.27 by 도시연구소

  • 분석적 계층화법(AHP) - 도시계획기술사 99회 2번 해설

    2013.11.07 by 도시연구소

클라인가르텐 - 도시계획기술사 99회 1교시 13번 해설

13. 클라인가르텐(kleingarten) 도시농업을 묻는 8번 문제와 비슷한 맥락에서 출제된 문제입니다. 클라인가르텐은 독일어로 작은(klein) 정원(garten)이란 뜻으로, 도시농업의 선도적인 역할을 한 독일의 도시 농장입니다. 독일의 주말농장인 클라인가르텐은 독일 전역에 걸쳐 5,000개소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독일 연방정부는 1961년 지역공동체 및 레크레이션 등 시민 활동 공간의 기능을 목적으로 '텃밭의 보호와 촉진을 위한 임대료 규정과 지방정부의 클라인가르텐 조성에 관한 촉진법'을 제정하고 본격적으로 클라인가르텐 활성화에 나섰습니다. 사유토지를 활용하던 민간차원의 행위가 정부차원의 운동으로 발전한 것입니다. 클라인가르텐의 토지 이용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채소 1/3, 과..

도시계획기술사 2013. 12. 27. 09:37

생태맹 - 도시계획기술사 99회 1교시 12번 해설

12. 생태맹(Ecological Illiteracy) 맹은 문맹, 색맹, 컴맹과 같이 어떤 능력이 결여된 상태 또는 그런 사람을 의미합니다. 생태맹은 생태학적 지식이나 자연과의 교감능력이 결여된 상태 또는 그러한 상태의 사람을 의미합니다. "천부적으로 물려받은,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우리의 정신적 능력이나 우리 자신이 자연과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는 감성이 결여된 상태가 바로 생태맹"(전영우 국민대 산림자원학과 교수) 전영우 교수는 자연과 인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우리의 사고와 의식으로부터 자연이 '사라지기' 때문에 쓰레기 분리수거와 같이 작은 환경보호는 잘 실천하면서도 이사를 하며 가구를 모두 새로 바꾸는 것처럼 눈에 잘 띄지 않는 더 큰 환경보호는 소홀하게 된다고 합니다. 생태맹은 생태계의 체계를..

도시계획기술사 2013. 12. 27. 09:22

베이비붐 세대 - 도시계획기술사 99회 1교시 11번 해설

11. 베이비 붐 세대(Baby Boom Generation) 출생률이 다른 시기에 비해 현저하게 상승하는 것을 베이비 붐이라고 하며, 베이비 붐 세대는 전쟁 후 또는 혹독한 불경기를 겪은 후 사회적, 경제적 안정 속에서 태어난 세대를 가리키는 말로 쓰입니다. 베이비붐 세대는 국제 공통의 통계적 기준으로 분류된 개념은 아닙니다. 그 기준과 범위가 국가마다 다릅니다.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국가의 베이붐 세대 추이는 제2차 세계대전이후 약 20여 년간 유사한 분포를 보입니다. '베이비부머'라는 용어는 미국에서 먼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캐나다 1947~1966년호주 1949~1965년뉴질랜드 1947~1965년프랑스 1947~1965년영국 1946~1974년 베이비붐 시기를 규정하기 위해..

도시계획기술사 2013. 12. 27. 09:20

분석적 계층화법(AHP) - 도시계획기술사 99회 2번 해설

2. 분석적 계층화법(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란 분석적 계층화 기법으로 분석되는 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수치화하여 정량적인 형태로 결론을 도출하는 다기준 분석기법 가운데 하나입니다. 1970년대 T. Satty 교수가 제시하였습니다. 하나의 속성만이 아닌 여러 속성을 지닌(다속성의) 사안의 의사결정을 하는데 활용도가 높습니다. 함정이 있기는 합니다만 객관적으로 각 분야별로 수치로 정량화하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사업시행에 이를 활용한다면 AHP가 0.5이상인 사업은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HP 분석의 간단한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세 후보 가운데 가장 적합한 후보를 선택해야 할 때, 후보의 자질 가운데, 경험, 교육, 카..

도시계획기술사 2013. 11. 7. 13:39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