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07)
    • 개발사업 (333)
      • 산업단지 (165)
      • 주택사업 (88)
      • 도시개발사업 (14)
      • 지구단위계획·개발행위허가 (11)
      • 오피스 (3)
      • 리테일 (6)
      • 물류·데이터센터 (8)
      • 인허가 (7)
      • 부담금·비용 (20)
      • 공급처리시설 (7)
      • 관광시설 (1)
      • 마케팅 (2)
    • 도시이야기 (54)
      • 부동산A2Z (2)
      • 서울대장아파트 (17)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9)
      • 도시계획산책 (11)
      • 도시비평 (4)
    • 일반&이슈 (38)
    • 정책·제도 (86)
    • 법률·세금 (48)
    • 부동산 (6)
    • 토지 (18)
    • 환경교통재해 (32)
    • 금융 (109)
      • 리츠 (16)
      • 투자 (47)
      • 자산운용 (46)
    • 지역 알아보기 (14)
    • 건강·지구환경 (4)
    • 기업&사람 (17)
    • 도시계획기술사 (17)
    • 중개 경매 (4)
    • 용어 (21)
    • 기술 (8)
    • 통계자료 (96)

검색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아파트

  • 서울시 종로구 신영제1구역 주택재개발 관리처분계획 인가 고시 (신영동 재개발)

    2023.09.25 by 도시연구소

  • 서울아파트 연차 지도(나이지도)

    2023.08.30 by 도시연구소

  • 서울시 자치구별, 동별 아파트 세대수

    2022.12.01 by 도시연구소

  • 서울대장아파트 - 강서구 마곡엠밸리7단지

    2022.09.26 by 도시연구소

  • 서울대장아파트 - 도봉구 동아청솔 아파트

    2022.09.24 by 도시연구소

  • 서울대장아파트 - 중구 서울역센트럴자이(aka. 서센자)

    2022.09.15 by 도시연구소

  • 울산시 미분양주택 현황

    2022.09.05 by 도시연구소

  • [여수순천광양] 아파트 시세, 학군 정보, 학원가 정보

    2022.08.24 by 도시연구소

서울시 종로구 신영제1구역 주택재개발 관리처분계획 인가 고시 (신영동 재개발)

종로구보에서 확인함 종로구 신영동 신영 제1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관리처분계획 인가 고시 세대수 199세대 (일반 분양 115세대) 상가면적 2,431제곱미터 클린업 자료 출처

개발사업/주택사업 2023. 9. 25. 21:47

서울아파트 연차 지도(나이지도)

최신 업데이트 자료는 아래 링크를 클릭 https://invisiblecity.co.kr/568/ 서울아파트 기본정보 확인하기 - invisiblecity 서울아파트 기본정보를 담고 있다. 담고 있는 정보 invisiblecity.co.kr invisiblecity.tistory.com/1524 서울시 부동산/주택 통계 자료 부동산과 관련하여 궁금한 자료가 있으면 아래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전국 매매&전세 지수 서울시, 전국 매매&전세 지수 서울시&전국 매매/전세 지수 매매/전세지수 히트맵 2017년~20 invisiblecity.tistory.com

통계자료 2023. 8. 30. 16:58

서울시 자치구별, 동별 아파트 세대수

서울시 구별 아파트 세대수 자료입니다. (2022년 10월 K-apt 기준) 서울시에는 전체 157만 세대의 아파트가 있습니다. 서울시에서 아파트 세대수가 가장 많은 곳은 노원구로 158,686세대가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의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송파구로 120,973세대가 있고, 세번째는 강남구로 111,586세대가 있습니다. 이렇게 3개구가 각각 10만 세대가 넘습니다. 네번째는 강서구로 95,013세대이며, 이어 성북구, 강동구, 양천구가 서초구, 구로구가 7만 세대 이상입니다. 서울특별시 18,015 1,574,929 강남구 1,314 111,586 강동구 843 77,079 강북구 370 32,142 강서구 1,118 95,013 관악구 462 44,262 광진구 278 26,4..

개발사업/주택사업 2022. 12. 1. 14:12

서울대장아파트 - 강서구 마곡엠밸리7단지

강서구 김포공항이 있는 구. 김포공항은 김포가 아니라 서울시 강서구에 있다. 이제는 마곡이 있는 구이기도 하다. 서울식물원이 있고, 겸재정선미술관이 있다. 마곡은 LG를 비롯해 여러 기업의 연구시설이 들어섰다. 기반시설과 일자리가 풍부하다. 강서구의 대장아파트는 마곡동 743-4번지에 있는 마곡엠밸리7단지이다. 마곡 산업단지와 같이 조성된 아파트이다. 1,004세대로 2014년 6월 입주했다. 용적률은 238% 마곡엠밸리7단지가 리딩 단지인 이유로는 마곡나루역과 서울식물원과의 접근성을 꼽을 수 있다. 초등학교 학군은 서울공항초등학교이다. 강서구에서 가장 높은 가격으로 평당 5,318만원이다. 33평 아파트 가격 17.6억원이다. 2021년 봄에서 가을 사이 반년만에 3억원이 올랐다. 2021년 9월 이후..

도시이야기/서울대장아파트 2022. 9. 26. 23:04

서울대장아파트 - 도봉구 동아청솔 아파트

도봉구 동아청솔 아파트 조선전기 조광조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 있었다. 도봉서원. 도봉산과 도봉구의 이름은 여기에서 왔다. 도봉구 서쪽에는 도봉산이 있고,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 세 봉우리가 각을 이룬다 하여 삼각산이라고도 불리는 북한산이 있다. 로 유명해진 쌍문동이 도봉구에 있다. 1988년 이전에는 노원구까지 포함하는 넓은 면적이었으나 노원구가 분리되어 나갔다. 현재 도봉구 인구는 32만명이다. 도봉구의 대장아파트는 창동 808번지에 위치한 동아청솔이다. 1,981세대 대단지이며, 1997년 3월 입주한 26년차 아파트이다. 용적률은 249%이며 평형은 24평, 33평, 49평이 있다. 33평이 평당 3,400만원으로 11억 2,40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33평 아파트는 2021년 7월 최..

도시이야기/서울대장아파트 2022. 9. 24. 15:47

서울대장아파트 - 중구 서울역센트럴자이(aka. 서센자)

중구 특이하게 자치구 중 유일하게 이름이 두글자이다. 인구 13만명으로 서울에서 인구가 가장 적다. 중구는 거주지보다는 업무와 상업지구로 가득하다. 조선시대에 남촌이라 불리던 지역으로 일제시대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며 상업적으로 활성화되었다. 우리나라 첫 백화점이 들어온 곳도 중구다. 첫 백화점은 지금도 남아 있다. 바로 신세계백화점 본점이다. 중구 영역에는 명동과 숭례문이 있고 남산 북쪽과 동국대학교, 덕수궁과 정동, 을지로가 포함된다. 중구는 서울의 중심업무 지구여서 주거지역이 많지 않고 아파트는 더욱 찾기 힘들다. 대표적인 단지로는 서울역 인근에 있는 서울역센트럴자이(서센자), 중림동삼성사이버빌리지, 덕수궁롯데캐슬, 순화더샵 등이 있다. 남산 너머에는 5,000세대가 넘는 남산타운이 있다. 리모델링을..

도시이야기/서울대장아파트 2022. 9. 15. 21:08

울산시 미분양주택 현황

울산광역시 민간/분양 미분양주택 현황 *미분양 추이 - 2022년 8월 *울산대공원 한신더휴 (일반공급 276세대, 접수 283건) - 2022년 7월 788호 (전월대비 161호 증가) : 1) 덕하지구 B2(아이에스동서) 23호 감소, 2) 온양읍 발리 440-1(시공 : 신일 / 시행 : 울산온양발리스타지역주택조합) 185호 증가(전체 분양 221호) *e편한세상 서울산 파크그란데 (일반공급 593세대, 접수 93건) *울산덕하역 신일 해피트리 더루츠 (일반공급 659세대, 접수 79건) - 2022년 6월 627호 (전월대비 -14호) : 덕하지구 B2(아이에스동서) 13호 감소 *울산온양발리 신일해피트리 더루츠(일반공급 202세대, 접수 96건) - 2022년 5월 641호 (전월대비 280호 ..

개발사업/주택사업 2022. 9. 5. 13:48

[여수순천광양] 아파트 시세, 학군 정보, 학원가 정보

여수, 순천, 광양 아파트 시세입니다. 2008년 이후 여수, 순천, 광양은 전국 상승폭(수도권이 절반 이상)을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그 중에선 여수의 상승률이 크고, 광양, 순천 순입니다. 2021년 말에서 2022년 상반기 고점 이후 점차 꺾이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0년 12월 18일 여수, 순천, 광양은 조정대상으로 지정되었으나 1년 가량 상승이 이어졌고, 집값이 꺾인 이후 2022년 7월 5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었으나 하락세는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2021.01.07 - [개발사업/주택사업] - [조정대상지역] 여수, 순천, 광양 아파트 시세 그래프 2017년 7월부터 아파트 시세를 보면 경향이 더욱 뚜렷합니다. 지난 5년간 전국(수도권 절반 이상)이 38% 가까이 오..

개발사업/주택사업 2022. 8. 24. 10:21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