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통계] 토지/건축물/부동산/아파트 시가총액·소유·거래현황/주택건설실적

통계자료

by 도시연구소 2015. 1. 5. 14:49

본문

반응형


[부동산 통계자료]



온나라부동산

http://www.onnara.go.kr/ep/statistics2/statistics00.jsp


토지거래 현황

용도지역별, 지목별 토지거래현황을 알 수 있다.






2013.11.05. 전국 토지소유 현황을“한눈에”... 통계작성 공표

① 소유구분별로 민유지 52.6%, 국․공유지 32.2%, 법인 등 기타 15.2%   순으로 차지

② 우리나라 인구 5천만 명 중 30.1%가 전국의 개인토지를 소유

③ 50~60대가 개인토지 중 과반수 이상인 52.2%를 소유


ㅇ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2012년 12월말 현재 토지ㆍ임야대장에 등재된 등록사항과 주민등록전산자료를 연계하여 토지소유현황 통계를 작성․공표하였다.


ㅇ 우리나라의 토지기본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토지 면적은 100,188㎢이며, 민유지가 전체의 52.6%인 52,69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국․공유지는 32.2%인 32,256㎢, 법인은 6.5%인 6,560㎢, 비법인 등 기타는 8.7%인 8,682㎢로 나타났다.


 - 용도지역별로는 농림지역이 48.9%인 49,03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관리지역 22.8%인 22,844㎢, 녹지지역 11.3% 11,370㎢ 순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주거지역 2.2% 2,209㎢, 공업지역 0.9% 914㎢, 상업지역 0.3% 258㎢로 나타났다.


 - 지목별로는 임야가 64.1%인 64,21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농경지(전, 답, 과수원, 목장용지) 20.6%인 20,667㎢, 공공용지(학교용지, 도로, 철도, 하천, 제방, 구거, 유지, 수도용지) 9.6% 9,593㎢ 순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대지 2.8% 2,827㎢, 공장용지(공장용지, 창고용지) 0.9% 903㎢로 나타났다.


ㅇ 개인 소유 토지의 개인별, 세대별, 연령별, 거주지별 토지소유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개인별 토지소유현황의 경우는 1,532만 명으로 ‘06년 대비 165만 명이 증가하여 총인구(5,095만 명)중 30.1%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전체 토지소유자 중 상위 50만 명의 소유비율은 55.2%로 ’06년(56.7%)보다 1.5%포인트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 세대별 토지소유현황은 1,211만 세대로 총세대(2,021만 세대)중 59.9%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상위 50만세대의 소유비율은 57.0%로 ’06년(58.9%)보다 1.9%포인트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토지소유현황을 살펴보면, 50대(27.8%), 60대(24.4%), 70대(18.7%) 순으로 토지를 많이 소유하고 있으며, 20세 미만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는 135㎢(0.3%)인 것으로 나타났다.


 - 물건소재지 기준으로 관내거주 추이를 살펴보면, 전국 평균 57.2%의 소유자가 물건소재지에 거주하고 있으며, 서울 82.0%,  부산 77.7%, 대구 75.4% 순으로 토지를 많이 소유하고 있으며, 최하위는 강원 49.7%로 외지인 비중이 50.3%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 거주지별 토지소유현황은 전국 개인토지의 35.7%(약1/3)를 수도권 거주자가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국토교통부는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하고 국민과 소통하는 투명한 정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누구나 통계누리(stat.molit.go.kr), 온나라 부동산(onnara.go.kr), 통계청 나라통계(narastat.kr)에서 토지소유현황 통계 확인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국내 토지 시가총액

국내 토지의 시가 총액은 3,744조원이다. 국가 총 자산 8,319조원의 45%에 달한다.(2011년 말, 통계청) 같은 기간 국내 총생산(GDP)은 1,272조원으로 GDP대비 지가 총액 비율은 2.94였다. (1990년 9.0, 1995년 4.4, 1998년 3.3, 2000년 2.9, 2006년 3.6)

 

다른 자료들

토지자산 : GDP 비율 = 4.1배(우리나라), 2.4배(일본), 1.2배(미국), 1.6배(네덜란드), 2.5배(호주)

출처 : 2015.0105. KBS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50105060108424

 


가계보유 주택 시가총액

2012년 말 기준 3094조원(한국은행, 통계청 '국민대차대조표') GDP

 

 

 

 

[국민대차대조표]

2012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국부)은 1경 630.6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 1,377.5조원)의 7.7배 수준(일본 6.4배, 캐나다 3.5배)
― 자산별로는 토지가 5,604.8조원(국민순자산의 52.7%)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건설자산 3,852.5조원(36.2%), 설비자산 660.0조원(6.2%), 지식재산생산물 252.7조원(2.4%), 재고자산 314.2조원(3.0%), 순금융자산(금융자산-금융부채)△101.1조원(-1.0%) 등임
― 제도부문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6,056.7조원으로 57.0%를 차지한 가운데 일반정부 2,736.0조원(25.7%), 비금융법인기업 1,524.7조원(14.3%), 금융법인기업 313.2조원(2.9%) 등임
출처 :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13953

KBS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50105060108424

 

경실련(경제정의실천 시민연합) 보고에 따르면 서울의 주택 중간 가격(그해 이뤄진 총 매매사례의 중간에 위치하는 가격)은 1인당 GDP의 17.7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런던 13.6배, 캐나다 밴쿠버 12.9배, 호주 시드니 11.2배, 미국 뉴욕 7.6배, 일본 도쿄 6.5배보다 높다. "뉴욕과 서울의 주택 중간가격은 4억원 초반으로 비슷하지만 1인당 GDP는 미국이 우리보다 2.2배가 높다.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들보다 소득 대비 집값이 지나치게 높다."

 

 


주택수

2012년 전국의 주택수는 1,855만호이다. 2012년 전국의 공공임대주택은 104만호, 민간부문 임대주택은 45만호이다.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주택은 약 1,706만호이다.

2012년 전국의 주택 소유자는 1,196만명, 이 중 집을 한 채만 지니고 있는 사람은 1,059만명이다. 두 채 이상 가지고 있는 사람이 137만명이다. 또한 이들 다주택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택은 647만호이다. 1인당 평균 5채이다.

 

주택재고 및 소유현황(2012년)
자료 : 국토교통부 주택보급률통계, 임대주택통계; 통계청 개인별주택소유통계
그래픽 :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http://saesayon.org/2014/11/02/14809/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

 

출처 : 국토교통부 (내부행정자료)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29

주석

* 주택건설인허가실적 통계 작성 기준 : 인/허가받은 주택수(익월말 고지)
- 주택법 제16조에 의한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 얻은 주택수
- 건축법 제8조에 의한 건축허가 얻은 주택수

 

주택인허가 실적(월별)

 

 

착공실적(월별)

 

분양(승인) 실적(월별)

 

 

준공(입주) 실적(월별)

 

 

출처 :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74825

 


아파트(공동주택)

2001년 도곡동 타워팰리스의 분양가는 평당 900만원이었다. 당시 미분양되었으며 68평형이 6억원 정도였으나 2014년 40억~45억원(평당 5900만원~6600만원) 수준에 달했다. 이것도 최고 가격이었을 때보단 떨어진 것이다. 2002년 강남 아이파크의 분양가는 평당 1100만원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요즘엔 대부분 분양가가 평당 1000만원을 넘는다. 다들 왜 이렇게 많이 올랐을까?

 



2013.1105. 발행

2013.1114. 수정

2014.0905. 수정

2014.1119. 수정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