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40)
    • 개발사업 (304)
      • 산업단지 (161)
      • 주택사업 (89)
      • 오피스 (3)
      • 리테일 (6)
      • 인허가 (7)
      • 부담금·비용 (21)
      • 도시개발사업 (8)
      • 공급처리시설 (6)
      • 마케팅 (2)
    • 도시이야기 (51)
      • 부동산A2Z (2)
      • 서울대장아파트 (18)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6)
      • 도시계획산책 (11)
      • 도시비평 (3)
    • 일반&이슈 (38)
    • 정책·제도 (87)
    • 법률·세금 (53)
    • 부동산 (6)
    • 토지 (18)
    • 환경교통재해 (29)
    • 금융 (72)
      • 리츠 (16)
      • 투자 (14)
      • 자산운용 (42)
    • 지역 알아보기 (14)
    • 건강·지구환경 (4)
    • 기업&사람 (16)
    • 도시계획기술사 (17)
    • 중개 경매 (4)
    • 용어 (21)
    • 기술 (8)
    • 통계자료 (96)

검색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금융/자산운용

  • 대차대조표 → 재무상태표

    2023.02.01 by 도시연구소

  • 헤지펀드(Hedge Fund)에 대해 알아보자

    2022.10.13 by 도시연구소

  • CDS, FTD, TRS, CLN, CDO

    2022.10.13 by 도시연구소

  • PEF(Private Equity Fund)에 대해 알아보자

    2022.10.12 by 도시연구소

  • 프로젝트파이낸싱(PF, Project Financing)

    2022.10.12 by 도시연구소

  • 수익환원율(Cap Rate, Capitalization Rate)

    2022.10.12 by 도시연구소

  • ABS(자산담보부채권), MBS(주택저당증권)

    2022.10.12 by 도시연구소

  • 시행사 / 시공사 / 대주단

    2022.10.12 by 도시연구소

대차대조표 → 재무상태표

대차대조표는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재무상태표'다. 재무상태표는 회사의 재무상태를 보여 주는 표이다. 회사가 가진 재산과 갚아야 할 채무가 얼마나 있는지 보여준다. 가진 재산을 회계상으로 '자산'이라 부르고 갚아야 할 채무를 '부채'라고 부른다. 자산에서 부채를 빼고 나면 가져갈 수 있는 몫이 남는데, 이를 '자본' 또는 '순자산'이라고 부른다. 출처 : 사경인,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

금융/자산운용 2023. 2. 1. 22:42

헤지펀드(Hedge Fund)에 대해 알아보자

헤지펀드의 특징 - 헤지펀드는 사모투자의 한 형태이지만, 아직까지 정의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소수 거액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주식 이나 채권과 같은 유가증권, 파생상품, 실물자산 등에 투자하여 절대수익률을 추구하는 사모펀드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 헤지펀드는 운용보수와 성과보수를 모두 부과한다. 둘다 받는다. 하나만 받을 리가 없지 않은가? - 펀드운용자의 책임 있는 운용을 위해 운용자도 헤지펀드에 투자를 허용한다. (운영자 : 저도 투자했습니다) - 투기적 목적으로 파생상품을 거래할 수 있으며, 차입과 공매도가 가능하다. (거의 모든 것이 허용된다) - 운용전략이 공개되지 않는 등 공시의무가 없어 투명성이 제한된다. (어차피 사모펀드니까) 기관투자자가 헤지펀드를 투..

금융/자산운용 2022. 10. 13. 22:29

CDS, FTD, TRS, CLN, CDO

CDS(Credit Default Swap) 예시 - A은행은 C기업에게 1,000억을 대출해주고 연 6% 이자를 받기로 했다. 그런데 기업이 파산할까봐 걱정된다. - 보장매수자(A은행)는 보장매도자(B은행)에게 CDS 프리미엄을 지급하고 위험을 넘겼다. 대신 5% 이자를 지급한다. - C기업이 부도가 났고, 빌려준 1,000억 중 200억을 회수했다. 보장매도자(B은행)은 손실 800억원을 A은행에게 보전해준다. 특징 - 가장 간단하고 보편화된 신용파생상품 - 보장매수자(A은행)가 신용위험을 전가한 사실을 차주가 알 수 없다. 보장매수자는 기업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 보장매도자(B은행)는 초기 투자비용 없이(1,000억을 대출해 준 적 없이 연 5%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높은 수익률과..

금융/자산운용 2022. 10. 13. 22:16

PEF(Private Equity Fund)에 대해 알아보자

PEF(Private Equity Fund) - 자본시장법 상의 사모투자전문회사, 사원의 총수는 50인 미만이어야 한다. (49인 이하) - 미공개 주식에 투자한 뒤 기업공개(IPO)나 매각을 통해 차익을 남기는 펀드를 말한다. - 사모펀드의 경우 무한책임사원(GP) 1인 이상, 유한책임사원(LP) 1인 이상으로 구성된다. - 최소투자금액은 업무집행사원(GP)과 운용역은 1억 이상, 그 외의 자(일반투자자 포함)는 3억 이상이다. - 무한책임사원에게는 Clawback 조항이 있어 PEF에 손실이 발생할 경우 GP가 이미 받은 성과보수라도 손실보전을 위해 GP는 이를 충당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LP는 당연히 출자한 금액 한도에서만 책임을 진다. - PEF는 무한책임사원의 내역은 공개하나, 유한책임사원의 ..

금융/자산운용 2022. 10. 12. 21:51

프로젝트파이낸싱(PF, Project Financing)

PF, Project Financing 사업자와 법적으로 독립된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미래 현금흐름을 상환재원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기법을 말합니다. PF란 무엇인가요? 석유탐사나 발전소, 공항건설 같은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사업을 통해 미래에 벌어들일 수익을 보고 무담보신용으로 사업비를 대출해주는 금융 기법입니다. 사업주체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자금을 차입하는데 있어 당해 사업에서 발생할 현금흐름(Cash Flow)을 주된 채무변제 재원으로 하고, 금융에 대한 담보를 통해 사업의 자산으로 한정하는 것입니다. 독립된 프로젝트 회사를 설립하여 사업을 진행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이화령 터널, 영정도 신공항 고속도로 등 민자유치 촉진법 이후 본격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지금은 PF 사업의..

금융/자산운용 2022. 10. 12. 21:30

수익환원율(Cap Rate, Capitalization Rate)

Cap Rate는 일반적으로 부동산 자산에서 발생하는 연간 임대 소득과 현재 시장 가치 사이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수익환원율(Cap Rate) = 초년도 NOI / 매도 호가 × 100 NOI(Net Operating Income) 순영업이익은 부동산 임대에서 발생한 총수익에서 각종 운영경비를 차감한 순수익입니다.

금융/자산운용 2022. 10. 12. 21:22

ABS(자산담보부채권), MBS(주택저당증권)

ABS와 MBS와 같은 금융을 부동산 증권화(Securitization)라 합니다. 자산을 중개기관에 양도하고 중개기관은 자산을 담보로 투자자에게 유가증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직접 금융 방식입니다. ABS(자산 담보부 채권 : Assets Backed Securities) 들어보신 분은 들어보셨을테고, 처음 들어보시는 분들도 많을 텐데요, ABS 즉 자산담보부채권이란 무엇인가요? (자산담보부증권이라고도 부릅니다) 우선 자산유동화제도에 대해 설명하자면, 자산유동화제도란 자산을 담보로 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때 발행하는 채권이 바로 자산담보부채권(ABS)이 되는 것이지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자산 소유자는 보유중인 자산을 유동화중개회사(SPC)에 매각하고 자산을 매..

금융/자산운용 2022. 10. 12. 21:07

시행사 / 시공사 / 대주단

시행사 토지를 매입하고 사업의 주체가 되어 시행하는 업체로 사업 성공 시 사업 이익을 가져가기 때문에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중소업체가 많이 있다. 시공사 부동산을 건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업체로서 시공능력이 중요하며, 시행사가 공급받은 자금에 대해 필요 시 일정부분 보증을 하게 되므로 신용도 또한 중요하다. 대주단 or 펀드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재무적 조언자 및 자산관리, 에스크로 계좌 관리 등 업무를 수행한다.

금융/자산운용 2022. 10. 12. 12:38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1. -
    -
    실시간 암호화폐(비트코인) 공포&탐욕 지수(Feer & Greed )

    2022.10.24 20:27

  2. -
    -
    기부채납에 대해 알아보자

    2022.01.27 21:43

  3. -
    -
    Tic Tac Toe (틱택토) 승리 전략

    2021.11.13 10:32

  4. -
    [용어] 제품과 상품의 차이

    2021.12.13 22:40

  5. -
    -
    [2020년] 20:80 사회, 상위 20%는 누구인가(소득 5분위, 자산 5분위, 주택 5분위)

    2021.06.22 17:26

최신글

  1. -
    -
    대차대조표 → 재무상태표

    금융/자산운용

  2. -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6 - 경기용인 플랫폼시티 도시개발사업

    도시이야기/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3. -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5 -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사업 (서울역 MICE)

    도시이야기/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4. -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4 - 서울 마곡 MICE

    도시이야기/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5. -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3 - 용산역 정비창 부지(국제업무지구) 진행 현황

    도시이야기/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페이징

이전
1 2 3 4 ··· 6
다음
TISTORY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