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54)
    • 개발사업 (308)
      • 산업단지 (162)
      • 주택사업 (89)
      • 오피스 (3)
      • 리테일 (6)
      • 인허가 (7)
      • 부담금·비용 (21)
      • 도시개발사업 (11)
      • 공급처리시설 (6)
      • 마케팅 (2)
    • 도시이야기 (51)
      • 부동산A2Z (2)
      • 서울대장아파트 (18)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6)
      • 도시계획산책 (11)
      • 도시비평 (3)
    • 일반&이슈 (38)
    • 정책·제도 (87)
    • 법률·세금 (53)
    • 부동산 (6)
    • 토지 (18)
    • 환경교통재해 (32)
    • 금융 (79)
      • 리츠 (16)
      • 투자 (18)
      • 자산운용 (45)
    • 지역 알아보기 (14)
    • 건강·지구환경 (4)
    • 기업&사람 (16)
    • 도시계획기술사 (17)
    • 중개 경매 (4)
    • 용어 (21)
    • 기술 (8)
    • 통계자료 (96)

검색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정책·제도

  • 1기 신도시 재건축, 리모델링 신속하게 추진 → 2024년 마스터플랜 수립

    2022.08.19 by 도시연구소

  • 제20대 대통령 당선인 윤석열 부동산정책 공약(국민의힘)

    2022.03.11 by 도시연구소

  • 제20대 대통령 당선인 윤석열 부동산 관련 공약 분석, 부동산 등기등본 무료 발급

    2022.03.11 by 도시연구소

  • 기부채납에 대해 알아보자

    2022.01.27 by 도시연구소

  •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부동산 대책

    2020.11.30 by 도시연구소

  • 부동산 규제지역 지정 현황(2020년 11월 20일)

    2020.11.19 by 도시연구소

  • 국회의원/공직자 재산내역(부동산내역) 공개

    2020.09.28 by 도시연구소

  • 수도권정비권역/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

    2020.09.24 by 도시연구소

1기 신도시 재건축, 리모델링 신속하게 추진 → 2024년 마스터플랜 수립

윤석열 정부는 당초 공약으로 "1기 신도시 재건축과 리모델링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취임 후 2022년 8월 16일 발표한 자료에서 이를 변경하여 비판을 받았다. 1기 신도시 재건축을 위한 마스터플랜(종합계획) 수립 시점을 2024년으로 미룬다고 발표한 것이다.

정책·제도 2022. 8. 19. 10:51

제20대 대통령 당선인 윤석열 부동산정책 공약(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끝났습니다. 제20대 대통령 당선인 윤석열의 부동산정책 공약(국민의힘)을 알아보겠습니다. 공약집을 보겠습니다. 타이틀은 부동산정상화 입니다. 윤석열 부동산정책 주요 공약 #1 공급과 관련한 공약은 주택 250만호를 공급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인허가 물량을 기준으로 하는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지난 5년간 공급량은 260만호로 이보다 조금 낮은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윤석열 부동산정책 주요 공약 #2 재건축은 지금보다 쉽게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재건축 정밀안전진단 기준을 높여 재건축 가능한 단지가 많아지도록 합니다. 재건축에서 발생하는 이익은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도를 통해 일부 환수하도록 하는데, 이를 줄이겠다고 합니다. 윤석열 부동산정책 주요 공약 #3 임대차 ..

정책·제도 2022. 3. 11. 13:10

제20대 대통령 당선인 윤석열 부동산 관련 공약 분석, 부동산 등기등본 무료 발급

부동산 등기부등본은 대한민국 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열람하는데 700원 발급하는데 1,000원이 듭니다. 제20대 대통령 당선인 윤석열은 전면 무료화를 선언했습니다. 등기부등본은 부동산 거래의 기본인 만큼, 부동산 거래 안정화와 국민 불편을 감소하기 위해 온라인 부동산 등기부등본 발급을 무료로 하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이 약속, 꼭 지켜지길 바라겠습니다.

정책·제도 2022. 3. 11. 09:15

기부채납에 대해 알아보자

기부채납이란 실정법상 개념 정의는 존재하지 않으나, 관례에 따르면 "기부자가 그의 소유재산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국유재산 또는 공유재산으로 증여하는 기부의 의사표시를 하고,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승낙하는 채납의 의사 표시를 함으로써 성립하는 행위를 말한다. (대법원 판례) 기부채납, 생소한 용어다. '기부체납'이라고 표기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기부채납'이 맞는 표현이다, 그 뜻은 및 에 정의를 살펴보자. 국유재산법 제2조 제2호 "기부채납"이란 국가 외의 자가 제5조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재산의 소유권을 무상으로 국가에 이전하여 국가가 이를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공유재산법 제2조 제3호 "기부채납"이란 지방자치단체 외의 자가 제4조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재산의 소유권을 무상으로 지방자치단체에..

정책·제도 2022. 1. 27. 21:43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부동산 대책

이재명 지사 11월 28일 페이스북 글 전문 〈 3기 신도시에 지방정부 참여와 기본주택(평생주택) 확대 건의〉 광풍이라 부를 수밖에 없는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LH에 다음과 같이 3가지 주요 건의를 하였습니다. 부동산시장 안정화 정책인 '수도권 30만호 주택공급'의 80%(24만호)가 경기도 내에서 추진됩니다. 경기도는 정부 정책에 발맞춰 GB해제 등 아낌없는 행정지원에 나섰는데 ‘지방참여형 신도시 추진’이라는 당초 협약과 달리 경기도(GH)의 사업참여비율은 단 8%로 2기 신도시(16%)보다 오히려 절반 수준으로 후퇴하였습니다. 게다가 고양, 남양주 등 경기북부권은 참여가 불가해 지원의 편중이 우려됩니다. 지방참여 확대는 국감과 행감에서도 꾸준히 요구되어 왔고 2기 신도시에도 못미치는 사..

정책·제도 2020. 11. 30. 13:01

부동산 규제지역 지정 현황(2020년 11월 20일)

그림1. 2020년 11월 19일 더보기 투기과열지구(48개) 조정대상지역(75개) 서울 전 지역 (’17.8.3) 전 지역 (’16.11.3) 경기 과천(’17.8.3), 성남분당(’17.9.6), 광명, 하남(’18.8.28), 수원, 성남수정, 안양, 안산단원, 구리, 군포, 의왕, 용인수지·기흥, 동탄2(’20.6.19) 과천, 성남, 하남, 동탄2(’16.11.3), 광명(’17.6.19), 구리, 안양동안, 광교지구(’18.8.28), 수원팔달, 용인수지‧기흥(’18.12.31), 수원영통·권선·장안, 안양만안, 의왕(‘20.2.21) 고양, 남양주주1), 화성, 군포, 안성주2), 부천, 안산, 시흥, 용인처인주3), 오산, 평택, 광주주4), 양주, 의정부(’20.6.19) 김포주5)(‘2..

정책·제도 2020. 11. 19. 15:17

국회의원/공직자 재산내역(부동산내역) 공개

국회의원 및 공직자 매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발표 국회의원 www.assembly.go.kr/assm/assemact/official/assmCommunication/communicationUserView.do?noticeid=1100022046&no=55&search_key_n=total&search_val_v=%EC%9E%AC%EC%82%B0¤tPage=1&sdate=&edate= 국회공보 읽기(국회공보 제2020-36호(정기재산공개)) - 국회활동 - 대한민국국회 www.assembly.go.kr 공직자 gwanbo.mois.go.kr/user/tema/temaDetailListPage.do?A=A&pageIndex=7&year=&gov=&facts=&area=&seal=&tabTy..

정책·제도 2020. 9. 28. 08:35

수도권정비권역/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

수도권정비권역 수도권정비위원회 수도권정비위원회 협의 단계 - 협의 단계는 법으로 규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경기도 내부운영 기준에 따라 산업단지계획 통합심의 후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거치는 순으로 운영하고 있음 질의내용 ○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 제14조에 의한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 시행되는 택지조성사업으로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 또는 국토해양부장관과의 협의가 어느 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 ○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시 구체적인 심의내용(개발밀도, 건폐율ㆍ용적율ㆍ층수, 기반시설 부담 등)은 무엇인지? 회신내용 수도권정비계획법상의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시기에 관하여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동법 19조 규정에 대규모개발사업 시행시 그 개발계획에 대하여 수도권심의를 받도록 하고 있으며, 이 경우 각종 영..

정책·제도 2020. 9. 24. 12:33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1. -
    -
    실시간 암호화폐(비트코인) 공포&탐욕 지수(Feer & Greed )

    2022.10.24 20:27

  2. -
    -
    기부채납에 대해 알아보자

    2022.01.27 21:43

  3. -
    -
    Tic Tac Toe (틱택토) 승리 전략

    2021.11.13 10:32

  4. -
    -
    우리나라 인구 구조(인구피라미드)

    2022.07.29 21:17

  5. -
    -
    [용어] 제품과 상품의 차이

    2023.02.08 15:27

최신글

  1. -
    -
    수원 하수처리장 악취 민원

    환경교통재해

  2. -
    -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확인 방법

    개발사업/도시개발사업

  3. -
    삼성생명법은 왜 아직도 통과를 못했을까?

    금융/자산운용

  4. -
    -
    대한민국 상속세율

    금융/자산운용

  5. -
    -
    산림보호구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환경교통재해

페이징

이전
1 2 3 4 ··· 11
다음
TISTORY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