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61)
    • 개발사업 (316)
      • 산업단지 (165)
      • 주택사업 (83)
      • 도시개발사업 (10)
      • 지구단위계획·개발행위허가 (11)
      • 오피스 (3)
      • 리테일 (6)
      • 인허가 (7)
      • 부담금·비용 (21)
      • 공급처리시설 (7)
      • 마케팅 (2)
    • 도시이야기 (53)
      • 부동산A2Z (2)
      • 서울대장아파트 (18)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8)
      • 도시계획산책 (11)
      • 도시비평 (3)
    • 일반&이슈 (38)
    • 정책·제도 (86)
    • 법률·세금 (51)
    • 부동산 (6)
    • 토지 (18)
    • 환경교통재해 (32)
    • 금융 (79)
      • 리츠 (16)
      • 투자 (18)
      • 자산운용 (45)
    • 지역 알아보기 (14)
    • 건강·지구환경 (4)
    • 기업&사람 (16)
    • 도시계획기술사 (17)
    • 중개 경매 (4)
    • 용어 (21)
    • 기술 (8)
    • 통계자료 (96)

검색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개발사업/주택사업

  • 1~3기 신도시 위치 및 건설현황

    2023.01.07 by 도시연구소

  • 서울시 자치구별, 동별 아파트 세대수

    2022.12.01 by 도시연구소

  • 공동주택 사업은 주택사업계획 승인 후 5년 내 착공해야 한다

    2022.10.21 by 도시연구소

  • 서울시 종로구 신영제1구역 주택재개발 관리처분계획 인가 고시

    2022.10.17 by 도시연구소

  • 울산시 미분양주택 현황

    2022.09.05 by 도시연구소

  • 한남 재정비촉진지구, 한남뉴타운, 한남재개발

    2022.08.30 by 도시연구소

  • [여수순천광양] 아파트 시세, 학군 정보, 학원가 정보

    2022.08.24 by 도시연구소

  •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신설 기준

    2022.08.18 by 도시연구소

1~3기 신도시 위치 및 건설현황

3기 신도시 국토교통부가 5월 7일 수도권 30만호 공급계획의 일환으로 세번째 발표를 했다. - 1차(2018년 9월 21일 발표) : 17곳 3.5만호 (100만평 이상 규모는 없음) - 2차(2018년 12월 19일 발표) : 41곳 15.5만호 (100만평 이상 규모 : 남양주왕숙, 하남교산, 인천계양) - 3차(2019년 5월 7일 발표) : 28곳 11만호(100만평 이상 규모 : 고양창릉, 부천대장) 위 지도 가운데 눈에 띄게 표시된 파란색과 빨간색이 2차 발표한 신도시 3곳(남양주왕숙, 하남교산, 인천계양)과 3차 발표한 신도시 2곳(고양창릉, 부천대장)이다. 계양신도시 3기 신도시 중 하나인 계양신도시는 지하철(인천 1호선) 박촌역 동쪽에 위치하고, 굴포천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 부천 대장..

개발사업/주택사업 2023. 1. 7. 14:40

서울시 자치구별, 동별 아파트 세대수

서울시 구별 아파트 세대수 자료입니다. (2022년 10월 K-apt 기준) 서울시에는 전체 157만 세대의 아파트가 있습니다. 서울시에서 아파트 세대수가 가장 많은 곳은 노원구로 158,686세대가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의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송파구로 120,973세대가 있고, 세번째는 강남구로 111,586세대가 있습니다. 이렇게 3개구가 각각 10만 세대가 넘습니다. 네번째는 강서구로 95,013세대이며, 이어 성북구, 강동구, 양천구가 서초구, 구로구가 7만 세대 이상입니다. 서울특별시 18,015 1,574,929 강남구 1,314 111,586 강동구 843 77,079 강북구 370 32,142 강서구 1,118 95,013 관악구 462 44,262 광진구 278 26,4..

개발사업/주택사업 2022. 12. 1. 14:12

공동주택 사업은 주택사업계획 승인 후 5년 내 착공해야 한다

공동주택 사업은 주택사업계획 승인 후 5년 내 착공해야 한다. 만약 착공하지 않는다면? 승인권자가 승인을 취소할 수 있다. 반드시 취소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 규정 주택법 제15조(사업계획의 승인)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호수 이상의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려는 자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면적 이상의 대지조성사업을 시행하려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사업계획승인권자(이하 “사업계획승인권자”라 한다. 국가 및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행하는 경우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을 말하며, 이하 이 조, 제16조부터 제19조까지 및 제21조에서 같다)에게 사업계획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주택 외의 시설과 주택을 동일 건축물로 건축하는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주..

개발사업/주택사업 2022. 10. 21. 13:25

서울시 종로구 신영제1구역 주택재개발 관리처분계획 인가 고시

종로구보에서 확인함 종로구 신영동 신영 제1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관리처분계획 인가 고시 세대수 199세대 (일반 분양 115세대) 상가면적 2,431제곱미터

개발사업/주택사업 2022. 10. 17. 19:30

울산시 미분양주택 현황

울산광역시 민간/분양 미분양주택 현황 *미분양 추이 - 2022년 8월 *울산대공원 한신더휴 (일반공급 276세대, 접수 283건) - 2022년 7월 788호 (전월대비 161호 증가) : 1) 덕하지구 B2(아이에스동서) 23호 감소, 2) 온양읍 발리 440-1(시공 : 신일 / 시행 : 울산온양발리스타지역주택조합) 185호 증가(전체 분양 221호) *e편한세상 서울산 파크그란데 (일반공급 593세대, 접수 93건) *울산덕하역 신일 해피트리 더루츠 (일반공급 659세대, 접수 79건) - 2022년 6월 627호 (전월대비 -14호) : 덕하지구 B2(아이에스동서) 13호 감소 *울산온양발리 신일해피트리 더루츠(일반공급 202세대, 접수 96건) - 2022년 5월 641호 (전월대비 280호 ..

개발사업/주택사업 2022. 9. 5. 13:48

한남 재정비촉진지구, 한남뉴타운, 한남재개발

- 1구역부터 5구역까지 있음 - 1구역은 구역 해제되어 실제로는 2구역~5구역 - 2~3구역은 사업시행인가 받고, 관리처분인가를 받을 차례. 현재 3구역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 4~5구역은 조합설립인가만 받고, 사업시행인가를 받을 차례 - 재개발 속도 순 : 3구역 → 2구역 → 5구역 → 4구역 순 - 규모 가장 큰 구역 : 3구역(5,800세대) * 규모 가장 작은 구역 : 2구역(1,500세대) - 사업성 우수 : 4구역 - 한강 조망 우수 : 5구역 - 시공사 : 3구역(현대건설), 2구역(22년 9월 선정), 4~5구역(미정) 한남1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구역 해제되었다. 한남2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2구역과 3구역은 빠르다. 둘 다 사업시행인가까지 받고 관리처분인가..

개발사업/주택사업 2022. 8. 30. 12:45

[여수순천광양] 아파트 시세, 학군 정보, 학원가 정보

여수, 순천, 광양 아파트 시세입니다. 2008년 이후 여수, 순천, 광양은 전국 상승폭(수도권이 절반 이상)을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그 중에선 여수의 상승률이 크고, 광양, 순천 순입니다. 2021년 말에서 2022년 상반기 고점 이후 점차 꺾이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0년 12월 18일 여수, 순천, 광양은 조정대상으로 지정되었으나 1년 가량 상승이 이어졌고, 집값이 꺾인 이후 2022년 7월 5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었으나 하락세는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2021.01.07 - [개발사업/주택사업] - [조정대상지역] 여수, 순천, 광양 아파트 시세 그래프 2017년 7월부터 아파트 시세를 보면 경향이 더욱 뚜렷합니다. 지난 5년간 전국(수도권 절반 이상)이 38% 가까이 오..

개발사업/주택사업 2022. 8. 24. 10:21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신설 기준

학교 신설 기준 초등학교 : 4천~6천세대(2개 근린주거구역) 중학교, 고등학교 : 6천~9천세대(3개 근린주거구역) * 위 기준은 관련 규정에 따른 기준이다. 실제로는 교육청과의 협의에 따라 결정된다. 주변 학교, 학급수, 통학 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육청이 학교를 신설할지, 증설할지, 설치하지 않을지 등을 판단한다. 관련 규정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시행 2021. 8. 27.] [국토교통부령 제882호, 2021. 8. 27., 타법개정] 제89조(학교의 결정기준) ①학교의 결정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통학권의 범위, 주변환경의 정비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건전한 교육목적 달성과 주민의 문화교육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중심시설이 되도록 할 것 2..

개발사업/주택사업 2022. 8. 18. 22:52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1. -
    -
    실시간 암호화폐(비트코인) 공포&탐욕 지수(Feer & Greed )

    2022.10.24 20:27

  2. -
    -
    Tic Tac Toe (틱택토) 승리 전략

    2021.11.13 10:32

  3. -
    -
    [2020년] 20:80 사회, 상위 20%는 누구인가(소득 5분위, 자산 5분위, 주택 5분위)

    2021.06.22 17:26

  4. -
    -
    [용어] 제품과 상품의 차이

    2023.02.08 15:27

  5. -
    -
    기부채납에 대해 알아보자

    2022.01.27 21:43

최신글

  1. -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 도시지역외 특정형 복합형 지구단위계획

    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개발행위허가

  2. -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8 - 성남 백현 마이스 MICE

    도시이야기/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3. -
    -
    산업단지와 데이터센터(입주가능 여부)

    개발사업/산업단지

  4. -
    -
    마곡 지식산업센터

    개발사업/산업단지

  5. -
    -
    새만금 산업단지 현황 및 입주기업

    개발사업/산업단지

페이징

이전
1 2 3 4 ··· 11
다음
TISTORY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