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등록 수
- 2020년 4월말 : 19.5만개
- 2020년 7월말 : 19.6만개
설립승인 수
- 2020년 3월 : 994건
- 2020년 4월 : 1034건
공장설립 승인은 개별입지와 계획입지(입주계약)를 포함하며, 공장 설립을 위한 인허가 단계 중 가장 앞단에 있다.
신규등록 수
- 2020년 4월 : 1488건
공장등록 면적
- 2020년 4월 : 1,268백만㎡
공장용지 거래
- 2019년 12월 : 329필지, 898,111㎡, 6270억원(*서울시 강서구 가양동 비중 높음)
- 2020년 1월 : 294필지, 337,120㎡, 1410억원
- 2020년 2월 : 358필지, 606,979㎡, 2215억원
- 2020년 3월 : 381필지, 968,551㎡, 3045억원
지난 10년간(2009년 대비 2019년) 공장용지는 43.4% 증가했다. (2009년 720㎢ → 2019년 1,033㎢) 시도 단위에서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부산시로 54.5%였으며, 뒤를 이어 충북 53.5%, 전남 52.3% 증가했다. 면적 기준으로는 경기 73㎢, 충남 38㎢, 경북 35㎢, 경남 32㎢로 비율 순서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공장용지 면적 자체가 많은 곳은 경기, 충남, 경북, 경남 순으로, 공장용지가 많은 시도에 새로 늘어난 공장용지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3년간(2016년 대비 2019년) 공장용지 면적이 많이 증가한 시도는 경기, 충북, 충남, 경남, 경북 순이었다.
지난 10년과 지난 3년을 비교해 보면 새로 증가하는 공장용지 가운데 경기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해, 공장 용지 100평이 새로 증가하면 30평은 경기도에 만들어지고 있다. 충북은 12평, 충남은 11평, 경남 9평, 경북 8평으로 뒤를 잇는다.
표. 지자체별 공장용지 면적 추이(2007년~2019년)
산업단지 수
- 2020년 3월 : 1221개
구분 |
산업단지 수 |
산업시설용지 면적 |
총합계 |
1,321 |
2,196,192,840 |
대전 유성구 |
5 |
45,300,185 |
울산 북구 |
10 |
36,584,583 |
전남 여수시 |
8 |
35,737,179 |
경기 안산시 |
6 |
34,344,405 |
경북 구미시 |
12 |
33,361,509 |
경기 평택시 |
24 |
29,935,995 |
전남 광양시 |
7 |
26,164,608 |
부산 강서구 |
23 |
26,111,062 |
경북 포항시 |
13 |
26,090,682 |
전북 군산시 |
8 |
25,763,628 |
울산 울주군 |
17 |
23,552,545 |
경기 시흥시 |
6 |
23,409,919 |
경남 창원시 |
19 |
21,852,916 |
충남 당진시 |
17 |
20,693,067 |
충북 청주시 |
20 |
20,353,195 |
전남 영암군 |
9 |
15,880,220 |
광주 광산구 |
9 |
14,265,152 |
대구 달성군 |
10 |
14,161,780 |
충남 아산시 |
25 |
13,299,352 |
경기 화성시 |
21 |
12,245,790 |
전북 익산시 |
14 |
10,951,248 |
경북 경주시 |
34 |
10,760,998 |
충남 서산시 |
15 |
10,062,739 |
충남 천안시 |
21 |
9,090,179 |
경남 사천시 |
20 |
8,515,230 |
충북 음성군 |
25 |
7,755,126 |
경남 거제시 |
8 |
7,426,030 |
전북 완주군 |
6 |
7,258,945 |
세종 세종시 |
20 |
7,225,965 |
충북 충주시 |
22 |
6,929,062 |
대구 달서구 |
5 |
6,840,182 |
광주 북구 |
5 |
6,816,610 |
경남 김해시 |
30 |
6,621,257 |
인천 남동구 |
2 |
5,995,500 |
충남 보령시 |
12 |
5,747,573 |
경기 파주시 |
20 |
5,702,726 |
충북 진천군 |
20 |
5,688,350 |
경남 함안군 |
24 |
5,493,218 |
대전 대덕구 |
5 |
5,458,139 |
전남 함평군 |
7 |
5,139,439 |
경남 통영시 |
5 |
5,057,832 |
경남 양산시 |
13 |
4,780,406 |
경남 하동군 |
6 |
4,704,560 |
서울 구로구 |
3 |
4,474,803 |
부산 기장군 |
13 |
4,458,323 |
경북 김천시 |
8 |
4,417,465 |
경남 진주시 |
13 |
4,297,756 |
경북 칠곡군 |
7 |
4,272,424 |
경기 안성시 |
32 |
4,259,339 |
경기 김포시 |
15 |
4,127,785 |
인천 서구 |
7 |
4,067,981 |
충남 예산군 |
13 |
3,704,056 |
충남 공주시 |
18 |
3,653,599 |
경북 경산시 |
5 |
3,610,584 |
경남 밀양시 |
13 |
3,599,957 |
부산 사하구 |
4 |
3,512,976 |
전북 김제시 |
9 |
3,427,746 |
전북 정읍시 |
12 |
3,163,597 |
강원 삼척시 |
5 |
3,040,508 |
강원 원주시 |
12 |
2,885,071 |
충북 제천시 |
9 |
2,845,190 |
전남 나주시 |
11 |
2,822,662 |
경북 영천시 |
7 |
2,720,245 |
충북 보은군 |
6 |
2,712,254 |
경남 창녕군 |
11 |
2,609,911 |
경북 고령군 |
10 |
2,586,942 |
전북 전주시 |
7 |
2,555,373 |
충남 서천군 |
5 |
2,211,461 |
강원 춘천시 |
14 |
2,182,448 |
충남 홍성군 |
10 |
2,163,818 |
대구 북구 |
3 |
2,109,100 |
경북 상주시 |
9 |
2,101,335 |
충남 논산시 |
13 |
2,083,817 |
경남 고성군 |
12 |
1,900,779 |
대구 서구 |
2 |
1,873,457 |
전남 순천시 |
5 |
1,747,250 |
전남 해남군 |
4 |
1,702,397 |
경북 영주시 |
11 |
1,701,441 |
경북 성주군 |
6 |
1,658,032 |
전남 목포시 |
4 |
1,541,767 |
강원 강릉시 |
5 |
1,514,530 |
경기 포천시 |
7 |
1,456,739 |
전남 장흥군 |
4 |
1,418,675 |
충북 괴산군 |
7 |
1,404,510 |
경기 양주시 |
10 |
1,394,405 |
전남 영광군 |
5 |
1,393,927 |
경북 문경시 |
10 |
1,384,143 |
전북 남원시 |
8 |
1,368,900 |
부산 사상구 |
2 |
1,356,855 |
경기 성남시 |
2 |
1,301,194 |
충북 옥천군 |
8 |
1,295,327 |
인천 미추홀구 |
2 |
1,294,010 |
강원 동해시 |
3 |
1,290,023 |
강원 횡성군 |
5 |
1,256,581 |
경기 오산시 |
6 |
1,248,033 |
충북 증평군 |
5 |
1,230,482 |
충남 금산군 |
5 |
1,217,977 |
전북 고창군 |
5 |
1,180,746 |
경북 안동시 |
5 |
1,180,513 |
전남 무안군 |
7 |
1,134,674 |
경남 거창군 |
8 |
1,114,830 |
전남 화순군 |
7 |
1,098,854 |
경남 함양군 |
9 |
1,089,797 |
충북 영동군 |
5 |
1,071,234 |
제주 제주시 |
5 |
1,044,434 |
경기 용인시 |
14 |
978,919 |
전남 곡성군 |
4 |
946,019 |
경남 의령군 |
6 |
932,997 |
경기 연천군 |
5 |
917,609 |
전남 담양군 |
4 |
911,288 |
충남 청양군 |
7 |
841,828 |
광주 남구 |
3 |
841,507 |
전북 부안군 |
5 |
823,205 |
전남 장성군 |
4 |
816,731 |
경기 수원시 |
3 |
801,802 |
인천 연수구 |
1 |
801,756 |
강원 홍천군 |
5 |
774,882 |
전남 진도군 |
3 |
772,354 |
서울 강서구 |
1 |
729,247 |
울산 남구 |
1 |
669,544 |
충남 부여군 |
6 |
662,389 |
경남 산청군 |
7 |
636,988 |
경북 의성군 |
4 |
585,014 |
전남 강진군 |
3 |
560,807 |
강원 철원군 |
4 |
525,991 |
인천 부평구 |
1 |
522,449 |
경기 동두천시 |
4 |
511,729 |
전북 임실군 |
4 |
511,008 |
전북 순창군 |
5 |
486,666 |
대전 서구 |
1 |
486,286 |
경북 봉화군 |
4 |
462,929 |
충북 단양군 |
4 |
447,755 |
전남 완도군 |
3 |
446,713 |
전남 고흥군 |
4 |
432,748 |
경북 영덕군 |
3 |
421,941 |
경기 이천시 |
10 |
382,913 |
경남 합천군 |
3 |
365,490 |
인천 강화군 |
2 |
362,426 |
강원 영월군 |
3 |
362,253 |
전북 장수군 |
3 |
355,768 |
전북 진안군 |
3 |
341,479 |
부산 해운대구 |
2 |
336,984 |
대구 동구 |
3 |
326,392 |
인천 중구 |
1 |
323,827 |
경북 군위군 |
2 |
322,237 |
강원 속초시 |
3 |
315,235 |
인천 계양구 |
1 |
314,500 |
경북 청도군 |
2 |
308,245 |
강원 태백시 |
3 |
296,003 |
전남 보성군 |
3 |
282,675 |
경북 예천군 |
2 |
282,468 |
충남 계룡시 |
2 |
279,351 |
전북 무주군 |
3 |
278,819 |
경기 남양주시 |
3 |
276,968 |
경북 울진군 |
3 |
269,788 |
강원 정선군 |
3 |
261,878 |
경기 의정부시 |
1 |
210,423 |
전남 신안군 |
1 |
204,906 |
전남 구례군 |
3 |
182,702 |
경기 군포시 |
1 |
159,933 |
경기 여주시 |
4 |
158,381 |
대전 동구 |
1 |
151,856 |
강원 양양군 |
2 |
145,875 |
경기 부천시 |
1 |
128,583 |
경기 광명시 |
1 |
126,420 |
강원 인제군 |
2 |
124,047 |
강원 평창군 |
2 |
121,932 |
충남 태안군 |
2 |
111,250 |
경기 안양시 |
1 |
110,859 |
강원 고성군 |
2 |
95,525 |
제주 서귀포시 |
1 |
93,666 |
강원 양구군 |
1 |
90,327 |
강원 화천군 |
1 |
79,742 |
경기 의왕시 |
1 |
79,097 |
경기 가평군 |
1 |
47,918 |
경남 남해군 |
1 |
43,014 |
부산 북구 |
1 |
17,367 |
경북 영양군 |
1 |
13,537 |
2019년 5월 국가산업단지 생산실적은 41.6조원이다. 산업단지 별로 살펴보면 울산·미포가 10조원으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은 여수국가산업단지, 온산국가산업단지, 창원국가산업단지, 구미국가산업단지, 시화국가산업단지, 반월국가산업단지, 남동국가산업단지,광양국가산업단지, 포항국가산업단지 순이다.
국가산업단지별 업종별 생산실적은 다음과 같다.
석유화학이 가장 높으며, 운송장비, 전기전자, 철강, 기계 순이다.
2018년 9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월간 생산실적 그래프이다. 업종별로 보면 석유화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생산실적은 하락하는 추세이다. 석유화학과 더불어 기계의 하락폭이 크고, 운송장비는 연초 하락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5년 12월 부터 2019년 5월까지 국가산업단지 제조업 분야 업종별 고용인원 추이 그래프이다. 2015년 12월 국가산업단지 제조업 부문의 고용인원은 약 100만명이었으나, 2019년 5월 88만명으로 12% 가까이 줄었다.
2014년 1분기부터 2019년 1분기까지의 생산금액이다. 2014년 1분기 산업단지의 생산은 256조원이며, 월 85조원이다. 2019년 1분기 산업단지 생산은 242조원이며, 월 81조원 수준이다.
산업단지 별로 살펴보면 2014년 1분기 국가산업단지의 비중은 63.5%였던 반면, 2019년 1분기 국가산업단지의 비중은 54.0%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일반산업단지 비중은 31.7%에서 39.7%로 크게 증가했다.
업종별 공장 순증감
공장등록 순증감(당해연도-전년도)을 통해 본 업종별 자료이다.
- 공장 순증감은 연평균 5,900건으로 2015년 이후 하향 추세(‘15년 9,800건 → ‘19년 4,000건)이다. 업종별로는 2019년 금속, 기타기계, 식료품·전기장비, 고무플라스틱, 화학, 의료정밀 순으로 공장 순증감이 높았다. 업종 전반적으로 순증감은 하향 추세에 있으나 식료품, 화학, 비금속 등 업종은 2019년에도 큰 하락 없이 선방했다.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은 제조업 가운데 중분류 C20으로 분류된다. 한국은행 통계자료실에 있는 생산지수, 출하지수, 재고지수를 살펴보도록 한다.
초록선 :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시안색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생산지수(계절조정)
노란선 : 제조업 생산자제품 출하지수(계절조정)
회색선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생산자제품 출하지수(계절조정)
주황선 : 제조업 생산자제품 재고지수(계절조정)
초록선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생산자제품 재고지수(계절조정)
경기가 좋을 때는 공장이 활발하게 가동된다. 물건이 만들어질 때마다 속속 팔려나가기 때문(출하). 그런데 대개 경기가 나빠지면 금세 물건 판매량은 줄어들지만, 공장가동은 바로 멈추지 않는다. 창고에는 팔리지 않았던 제품들이 쟁여져 가고(재고) 생산이 감소한다. 다시 경기가 좋아지면 출하량은 늘고 재고는 줄어들며 뒤이어 생산이 증가한다.
출처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은 2018년 5월을 정점으로 출하지수가 줄어들고 있고, 2017년 9월 이후 재고지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상황이 좋지 않다. 한국은행 통계자료실에 있는 생산지수, 출하지수, 재고지수를 살펴보도록 한다.
초록선 :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시안색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노란선 : 제조업 생산자제품 출하지수(계절조정)
회색선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생산자제품 출하지수(계절조정)
주황선 : 제조업 생산자제품 재고지수(계절조정)
초록선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생산자제품 재고지수(계절조정)
생산지수와 출하지수는 하락 추세에 있다. 하락의 폭은 제조업 평균보다 크다. 재고지수는 2017년 1월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제조업 평균보다 훨씬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