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국 공장 및 산업단지 동향

개발사업/산업단지

by 도시연구소 2020. 10. 28. 10:43

본문

반응형

 

 

공장 동향

공장등록 수

- 2020년 4월말 : 19.5만개

- 2020년 7월말 : 19.6만개

 

설립승인 수

- 2020년 3월 : 994건

- 2020년 4월 : 1034건

 

공장설립 승인은 개별입지와 계획입지(입주계약)를 포함하며, 공장 설립을 위한 인허가 단계 중 가장 앞단에 있다.

2013년 하반기 공장등록현황 자료에서 발췌

 

반기별 공장설립승인 수(2014년 하반기~2019년 하반기)

 

신규등록 수

- 2020년 4월 : 1488건

 

공장등록 면적

- 2020년 4월 : 1,268백만㎡

 

공장용지 거래

- 2019년 12월 : 329필지, 898,111㎡, 6270억원(*서울시 강서구 가양동 비중 높음)

- 2020년 1월 : 294필지, 337,120㎡, 1410억원

- 2020년 2월 : 358필지, 606,979㎡, 2215억원

- 2020년 3월 : 381필지, 968,551㎡, 3045억원

 

공장건축 인허가 추이

 

공장건축 착공 추이

 

지자체별 공장 증가 추이

지난 10년간(2009년 대비 2019년) 공장용지는 43.4% 증가했다. (2009년 720㎢ → 2019년 1,033㎢) 시도 단위에서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부산시로 54.5%였으며, 뒤를 이어 충북 53.5%, 전남 52.3% 증가했다. 면적 기준으로는 경기 73㎢, 충남 38㎢, 경북 35㎢, 경남 32㎢로 비율 순서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공장용지 면적 자체가 많은 곳은 경기, 충남, 경북, 경남 순으로, 공장용지가 많은 시도에 새로 늘어난 공장용지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3년간(2016년 대비 2019년) 공장용지 면적이 많이 증가한 시도는 경기, 충북, 충남, 경남, 경북 순이었다. 

 

지난 10년과 지난 3년을 비교해 보면 새로 증가하는 공장용지 가운데 경기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해, 공장 용지 100평이 새로 증가하면 30평은 경기도에 만들어지고 있다. 충북은 12평, 충남은 11평, 경남 9평, 경북 8평으로 뒤를 잇는다. 

 

표. 지자체별 공장용지 면적 추이(2007년~2019년)

 

산업단지 동향

산업단지 수

- 2020년 3월 : 1221개

 

산업단지 분기별 분양 면적 추이

 

기초자치단체 별 산업단지 수 및 산업시설용지 면적

구분

산업단지 수

산업시설용지 면적

총합계

1,321

2,196,192,840

대전 유성구

5

45,300,185

울산 북구

10

36,584,583

전남 여수시

8

35,737,179

경기 안산시

6

34,344,405

경북 구미시

12

33,361,509

경기 평택시

24

29,935,995

전남 광양시

7

26,164,608

부산 강서구

23

26,111,062

경북 포항시

13

26,090,682

전북 군산시

8

25,763,628

울산 울주군

17

23,552,545

경기 시흥시

6

23,409,919

경남 창원시

19

21,852,916

충남 당진시

17

20,693,067

충북 청주시

20

20,353,195

전남 영암군

9

15,880,220

광주 광산구

9

14,265,152

대구 달성군

10

14,161,780

충남 아산시

25

13,299,352

경기 화성시

21

12,245,790

전북 익산시

14

10,951,248

경북 경주시

34

10,760,998

충남 서산시

15

10,062,739

충남 천안시

21

9,090,179

경남 사천시

20

8,515,230

충북 음성군

25

7,755,126

경남 거제시

8

7,426,030

전북 완주군

6

7,258,945

세종 세종시

20

7,225,965

충북 충주시

22

6,929,062

대구 달서구

5

6,840,182

광주 북구

5

6,816,610

경남 김해시

30

6,621,257

인천 남동구

2

5,995,500

충남 보령시

12

5,747,573

경기 파주시

20

5,702,726

충북 진천군

20

5,688,350

경남 함안군

24

5,493,218

대전 대덕구

5

5,458,139

전남 함평군

7

5,139,439

경남 통영시

5

5,057,832

경남 양산시

13

4,780,406

경남 하동군

6

4,704,560

서울 구로구

3

4,474,803

부산 기장군

13

4,458,323

경북 김천시

8

4,417,465

경남 진주시

13

4,297,756

경북 칠곡군

7

4,272,424

경기 안성시

32

4,259,339

경기 김포시

15

4,127,785

인천 서구

7

4,067,981

충남 예산군

13

3,704,056

충남 공주시

18

3,653,599

경북 경산시

5

3,610,584

경남 밀양시

13

3,599,957

부산 사하구

4

3,512,976

전북 김제시

9

3,427,746

전북 정읍시

12

3,163,597

강원 삼척시

5

3,040,508

강원 원주시

12

2,885,071

충북 제천시

9

2,845,190

전남 나주시

11

2,822,662

경북 영천시

7

2,720,245

충북 보은군

6

2,712,254

경남 창녕군

11

2,609,911

경북 고령군

10

2,586,942

전북 전주시

7

2,555,373

충남 서천군

5

2,211,461

강원 춘천시

14

2,182,448

충남 홍성군

10

2,163,818

대구 북구

3

2,109,100

경북 상주시

9

2,101,335

충남 논산시

13

2,083,817

경남 고성군

12

1,900,779

대구 서구

2

1,873,457

전남 순천시

5

1,747,250

전남 해남군

4

1,702,397

경북 영주시

11

1,701,441

경북 성주군

6

1,658,032

전남 목포시

4

1,541,767

강원 강릉시

5

1,514,530

경기 포천시

7

1,456,739

전남 장흥군

4

1,418,675

충북 괴산군

7

1,404,510

경기 양주시

10

1,394,405

전남 영광군

5

1,393,927

경북 문경시

10

1,384,143

전북 남원시

8

1,368,900

부산 사상구

2

1,356,855

경기 성남시

2

1,301,194

충북 옥천군

8

1,295,327

인천 미추홀구

2

1,294,010

강원 동해시

3

1,290,023

강원 횡성군

5

1,256,581

경기 오산시

6

1,248,033

충북 증평군

5

1,230,482

충남 금산군

5

1,217,977

전북 고창군

5

1,180,746

경북 안동시

5

1,180,513

전남 무안군

7

1,134,674

경남 거창군

8

1,114,830

전남 화순군

7

1,098,854

경남 함양군

9

1,089,797

충북 영동군

5

1,071,234

제주 제주시

5

1,044,434

경기 용인시

14

978,919

전남 곡성군

4

946,019

경남 의령군

6

932,997

경기 연천군

5

917,609

전남 담양군

4

911,288

충남 청양군

7

841,828

광주 남구

3

841,507

전북 부안군

5

823,205

전남 장성군

4

816,731

경기 수원시

3

801,802

인천 연수구

1

801,756

강원 홍천군

5

774,882

전남 진도군

3

772,354

서울 강서구

1

729,247

울산 남구

1

669,544

충남 부여군

6

662,389

경남 산청군

7

636,988

경북 의성군

4

585,014

전남 강진군

3

560,807

강원 철원군

4

525,991

인천 부평구

1

522,449

경기 동두천시

4

511,729

전북 임실군

4

511,008

전북 순창군

5

486,666

대전 서구

1

486,286

경북 봉화군

4

462,929

충북 단양군

4

447,755

전남 완도군

3

446,713

전남 고흥군

4

432,748

경북 영덕군

3

421,941

경기 이천시

10

382,913

경남 합천군

3

365,490

인천 강화군

2

362,426

강원 영월군

3

362,253

전북 장수군

3

355,768

전북 진안군

3

341,479

부산 해운대구

2

336,984

대구 동구

3

326,392

인천 중구

1

323,827

경북 군위군

2

322,237

강원 속초시

3

315,235

인천 계양구

1

314,500

경북 청도군

2

308,245

강원 태백시

3

296,003

전남 보성군

3

282,675

경북 예천군

2

282,468

충남 계룡시

2

279,351

전북 무주군

3

278,819

경기 남양주시

3

276,968

경북 울진군

3

269,788

강원 정선군

3

261,878

경기 의정부시

1

210,423

전남 신안군

1

204,906

전남 구례군

3

182,702

경기 군포시

1

159,933

경기 여주시

4

158,381

대전 동구

1

151,856

강원 양양군

2

145,875

경기 부천시

1

128,583

경기 광명시

1

126,420

강원 인제군

2

124,047

강원 평창군

2

121,932

충남 태안군

2

111,250

경기 안양시

1

110,859

강원 고성군

2

95,525

제주 서귀포시

1

93,666

강원 양구군

1

90,327

강원 화천군

1

79,742

경기 의왕시

1

79,097

경기 가평군

1

47,918

경남 남해군

1

43,014

부산 북구

1

17,367

경북 영양군

1

13,537

 

 

국가산업단지 생산실적(2019년 5월)

2019년 5월 국가산업단지 생산실적은 41.6조원이다. 산업단지 별로 살펴보면 울산·미포가 10조원으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은 여수국가산업단지, 온산국가산업단지, 창원국가산업단지, 구미국가산업단지, 시화국가산업단지, 반월국가산업단지, 남동국가산업단지,광양국가산업단지, 포항국가산업단지 순이다.

 

국가산업단지 업종별 생산실적(2019년 5월)

국가산업단지별 업종별 생산실적은 다음과 같다.
석유화학이 가장 높으며, 운송장비, 전기전자, 철강, 기계 순이다.

 

 

국가산업단지 월별 생산실적(2018년 9월~2019년 5월)

2018년 9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월간 생산실적 그래프이다. 업종별로 보면 석유화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생산실적은 하락하는 추세이다. 석유화학과 더불어 기계의 하락폭이 크고, 운송장비는 연초 하락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가산업단지 고용인원

2015년 12월 부터 2019년 5월까지 국가산업단지 제조업 분야 업종별 고용인원 추이 그래프이다. 2015년 12월 국가산업단지 제조업 부문의 고용인원은 약 100만명이었으나, 2019년 5월 88만명으로 12% 가까이 줄었다. 

 

 

국가산업단지 업종별 고용인원

 

전국산업단지 분기별 생산실적

2014년 1분기부터 2019년 1분기까지의 생산금액이다. 2014년 1분기 산업단지의 생산은 256조원이며, 월 85조원이다. 2019년 1분기 산업단지 생산은 242조원이며, 월 81조원 수준이다.

산업단지 별로 살펴보면 2014년 1분기 국가산업단지의 비중은 63.5%였던 반면, 2019년 1분기 국가산업단지의 비중은 54.0%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일반산업단지 비중은 31.7%에서 39.7%로 크게 증가했다.

 

단위 : 백만원

 

업종별 현황

업종별 공장 순증감

공장등록 순증감(당해연도-전년도)을 통해 본 업종별 자료이다.

- 공장 순증감은 연평균 5,900건으로 2015년 이후 하향 추세(‘15년 9,800건 → ‘19년 4,000건)이다. 업종별로는 2019년 금속, 기타기계, 식료품·전기장비, 고무플라스틱, 화학, 의료정밀 순으로 공장 순증감이 높았다. 업종 전반적으로 순증감은 하향 추세에 있으나 식료품, 화학, 비금속 등 업종은 2019년에도 큰 하락 없이 선방했다.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은 제조업 가운데 중분류 C20으로 분류된다. 한국은행 통계자료실에 있는 생산지수, 출하지수, 재고지수를 살펴보도록 한다.

 

생산지수


초록선 :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시안색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생산지수(계절조정)

 

출하지수


노란선 : 제조업 생산자제품 출하지수(계절조정)
회색선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생산자제품 출하지수(계절조정)

 

재고지수


주황선 : 제조업 생산자제품 재고지수(계절조정)
초록선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생산자제품 재고지수(계절조정)

경기가 좋을 때는 공장이 활발하게 가동된다. 물건이 만들어질 때마다 속속 팔려나가기 때문(출하). 그런데 대개 경기가 나빠지면 금세 물건 판매량은 줄어들지만, 공장가동은 바로 멈추지 않는다. 창고에는 팔리지 않았던 제품들이 쟁여져 가고(재고) 생산이 감소한다. 다시 경기가 좋아지면 출하량은 늘고 재고는 줄어들며 뒤이어 생산이 증가한다.
출처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은 2018년 5월을 정점으로 출하지수가 줄어들고 있고, 2017년 9월 이후 재고지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상황이 좋지 않다. 한국은행 통계자료실에 있는 생산지수, 출하지수, 재고지수를 살펴보도록 한다.

 

생산지수


초록선 :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시안색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출하지수


노란선 : 제조업 생산자제품 출하지수(계절조정)
회색선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생산자제품 출하지수(계절조정)

 

재고지수


주황선 : 제조업 생산자제품 재고지수(계절조정)
초록선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생산자제품 재고지수(계절조정)

 

생산지수와 출하지수는 하락 추세에 있다. 하락의 폭은 제조업 평균보다 크다. 재고지수는 2017년 1월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제조업 평균보다 훨씬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