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07)
    • 개발사업 (333)
      • 산업단지 (165)
      • 주택사업 (88)
      • 도시개발사업 (14)
      • 지구단위계획·개발행위허가 (11)
      • 오피스 (3)
      • 리테일 (6)
      • 물류·데이터센터 (8)
      • 인허가 (7)
      • 부담금·비용 (20)
      • 공급처리시설 (7)
      • 관광시설 (1)
      • 마케팅 (2)
    • 도시이야기 (54)
      • 부동산A2Z (2)
      • 서울대장아파트 (17)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9)
      • 도시계획산책 (11)
      • 도시비평 (4)
    • 일반&이슈 (38)
    • 정책·제도 (86)
    • 법률·세금 (48)
    • 부동산 (6)
    • 토지 (18)
    • 환경교통재해 (32)
    • 금융 (109)
      • 리츠 (16)
      • 투자 (47)
      • 자산운용 (46)
    • 지역 알아보기 (14)
    • 건강·지구환경 (4)
    • 기업&사람 (17)
    • 도시계획기술사 (17)
    • 중개 경매 (4)
    • 용어 (21)
    • 기술 (8)
    • 통계자료 (96)

검색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부동산

  • 토지개발이 가능한 용도지역, 용도지역 별 건축 제한

    2022.08.30 by 도시연구소

  • 2022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2022.08.29 by 도시연구소

  • 청와대 지도가 공개되었다

    2022.06.01 by 도시연구소

  • 아파트 면적 : 계약면적, 공급면적, 전용면적, 서비스면적

    2021.07.16 by 도시연구소

  • [2020년 2월 21일부터] 집값 담합 행위 처벌받는다.

    2020.02.21 by 도시연구소

  • 주택의 가치 = 사용가치 + 처분가치

    2019.04.12 by 도시연구소

토지개발이 가능한 용도지역, 용도지역 별 건축 제한

저자는 개발행위허가를 받아 토지를 개발하더라도 용도지역에 따라 향후 지을 수 있는 건축물의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다음의 용도지역이 개발하기 좋다고 한다. 바로 자연녹지지역과 계획관리지역 이들 용도지역에서는 여러 가지 용도의 건축물을 지을 수 있기 때문에 수요가 많다는 것이다. 반면 생산관리지역, 보전관리지역에는 다양한 시설이 들어올 수 없고 생산녹지지역, 보전녹지지역 등은 농지법으로 제한된 것이 많아 절대농지와 같은 행위 제한을 갖는다. 출처 : 토지 투자의 정석 용도지역은 에 따라 건폐율과 용적률 뿐만 아니라 건축 용도, 종류, 규모 등도 제한한다. 그러므로 국토계획법에 따른 건축 제한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법률 뿐만 아니라 지자체 조례로도 정하고 있으므로 조례도 확인해야 한다. https://la..

부동산 2022. 8. 30. 13:10

2022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땅집고에서 조사한 전망 6개월 뒤 확인해 보겠습니다. KDI 부동산시장 동향 - 금리인상 영향으로 하락 예상 - 정책 금리 지난해 8월부터 올 7월까지 6차례 인상. 0.5% → 2.25%로 상승 - (매매) 수도권 주택가격지수 1/4분기 0.01% 하락, 2/4분기 0.05% 하락, 비수도권은 1/4분기 0.28% 상승, 2/4분기 0.17% 상승 - (전세) 수도권 전세가격지수 1/4분기 0.14% 하락, 2/4분기 0.09% 하락, 비수도권은 1/4분기 0.22% 상승, 2/4분기 0.04% 상승 - 4~5월 주택 매매거래량 주택경기가 활황세를 보였던 2020~21년 대비 30.0% 하락, 10년 평균 대비 26% 하락

부동산 2022. 8. 29. 17:21

청와대 지도가 공개되었다

청와대 공개 후 네이버지도에서 가려져 있던 청와대가 공개되었다.

부동산 2022. 6. 1. 21:01

아파트 면적 : 계약면적, 공급면적, 전용면적, 서비스면적

주택 면적이 너무 복잡하다 첫번째, 단위 단위는 공식적으로는 제곱미터지만 여전히 '평'을 많이 사용합니다. 면적을 복잡하게 하는 한 요인입니다. 평과 제곱미터를 환산하기 위해서는 단위환산 계수를 곱하거나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85제곱미터 = 85 * 0.3025 = 25.7125평25평 = 25 / 0.3025 = 82.6446제곱미터 두번째, 여러 면적들 계약면적, 공급면적, 전용면적, 서비스면적 우리가 말하는 면적이 어떤 면적을 의미하는지 잘 모릅니다. 25평, 33평, 이렇게 부르지만 이는 우리가 거주하는 공간의 실제 면적이 아닙니다. 집 면적 집이 몇 평이에요? 집 면적이 궁금할 때 우리는 보통 이렇게 묻는다. (몇 제곱미터에 살아요? 라고는 잘 묻지 않죠.) 그럼 사람들이 답합니다. 25평이요..

부동산 2021. 7. 16. 10:52

[2020년 2월 21일부터] 집값 담합 행위 처벌받는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실거래 고강도 조사 확대와 불법행위 집중단속으로 건전한 부동산 시장을 만들겠습니다.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3577 「공인중개사법」 개정안 주요내용 ① 2.21일부터는 입주민, 중개사 등의 집값담합 행위도 금지된다. 이에 따라, 시세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나 특정 공인중개사의 중개의뢰를 제한·유도하는 행위 등이 금지되며, 위반 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주요 집값담합 등 부동산거래질서교란행위 유형(「공인중개사법」 제33조) ① 입주자 모임 등이 안내문,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이용하여 특정 가격 이하로 중개를 의뢰하지 아니하도록 유도․장려* * 시세 또는 권장 호가..

부동산 2020. 2. 21. 08:47

주택의 가치 = 사용가치 + 처분가치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신축 아파트 가격 강세 현상이 나타난다. 차이를 비교해 보기 위해 서울시 마포구 용강동에 있는 인접한 4개의 아파트 단지를 살펴보자. Image credit : 국토지리정보원 단지명 마포태영 마포용강래미안 래미인마포리버웰 e편한세상마포3차 준공년도(년) 1999.11. 2003.03. 2014.07. 2015.01. 전용면적(m²) 84 84 84 84 매매가(억원) 6.8 7.7 9.3 10 전세가(억원) 5.2 6 7.4 8.1 전세가율(%) 76.5 77.9 79.6 81 차액(억원) 1.6 1.7 1.9 1.9 비교하기 쉽게 전용면적이 같은 단지를 골랐다. 몇 가지 특징이 눈에 띈다. 새 아파트일수록 비싸다. 새 아파트일수록 전세가가 비싸다. 새 아파트일수록 전세가율이 높다..

부동산 2019. 4. 12. 08:35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