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07)
    • 개발사업 (333)
      • 산업단지 (165)
      • 주택사업 (88)
      • 도시개발사업 (14)
      • 지구단위계획·개발행위허가 (11)
      • 오피스 (3)
      • 리테일 (6)
      • 물류·데이터센터 (8)
      • 인허가 (7)
      • 부담금·비용 (20)
      • 공급처리시설 (7)
      • 관광시설 (1)
      • 마케팅 (2)
    • 도시이야기 (54)
      • 부동산A2Z (2)
      • 서울대장아파트 (17)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9)
      • 도시계획산책 (11)
      • 도시비평 (4)
    • 일반&이슈 (38)
    • 정책·제도 (86)
    • 법률·세금 (48)
    • 부동산 (6)
    • 토지 (18)
    • 환경교통재해 (32)
    • 금융 (109)
      • 리츠 (16)
      • 투자 (47)
      • 자산운용 (46)
    • 지역 알아보기 (14)
    • 건강·지구환경 (4)
    • 기업&사람 (17)
    • 도시계획기술사 (17)
    • 중개 경매 (4)
    • 용어 (21)
    • 기술 (8)
    • 통계자료 (96)

검색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통계자료

  • [주택5분위, 소득5분위] 집을 사는데 몇 년이나 걸릴까? (PIR)

    2020.09.03 by 도시연구소

  • 미국 실업률/실업급여 청구 건수 확인하기(5/14발표, 298만명)

    2020.05.14 by 도시연구소

  • 소비자 물가 vs 지가 vs 예금금리

    2020.04.18 by 도시연구소

  • 전세계 지난 1년 주택 가격(IMF, 2019년 3분기)

    2020.04.16 by 도시연구소

  • 원-달러 환율 그래프

    2020.04.14 by 도시연구소

  • 전국(서울) 아파트 평균/중위가격

    2020.04.14 by 도시연구소

  • 태양광 REC 거래량 및 거래가격(평균가격)

    2020.04.13 by 도시연구소

  • (2020년 4월 10일 발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KB부동산)

    2020.04.10 by 도시연구소

[주택5분위, 소득5분위] 집을 사는데 몇 년이나 걸릴까? (PIR)

그림. 2019.9월 기준 *국민은행 자료 PIR을 살펴본 자료이다. 중간을 살펴보자. 소득 3분위(40~60% 구간)인 사람이 주택 3분위(40~60% 구간)에 있는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전국평균 5.4년이 걸린다. 반면 서울에 있는 집을 사기 위해서는 13.8년이 걸린다. (여기에서 가구연소득은 서울 기준이 아니라 '도시' 기준이다. 서울 가구의 소득은 아니다.) 전국과 서울을 비교했을 때 소득은 크게 차이나지 않는 반면 주택 가격 차이는 크다. 서울에서 5분위 소득(도시지역 기준)은 1.2억원인 반면, 주택 5분위는 17.4억원이다. 3분위 소득은 5,266만원이고, 주택 3분위 평균 가격은 7.3억원이다. 13.8년이 걸린다. 그림. 2020. 6월 기준 전국적으로 PIR은 대체로 떨어진 반면..

통계자료 2020. 9. 3. 08:10

미국 실업률/실업급여 청구 건수 확인하기(5/14발표, 298만명)

5/14 발표 298만명으로 감소했다. 4/2자 발표자료에 따르면 실업급여 청구건수는 665만명으로 집계되었다. https://oui.doleta.gov/unemploy/DataDashboard.asp 예상했던 수치여서인지, 발표 이후 미국 지수는 보합이다. (한국시간 4/3 10:35 현재) 아래 사이트에서 업데이트 되는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미국 실업률 https://fred.stlouisfed.org/series/UNRATE Unemployment Rate Source: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Release: Employment Situation Units: Percen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Monthly Notes: The..

통계자료 2020. 5. 14. 22:37

소비자 물가 vs 지가 vs 예금금리

소비자 물가 vs 지가 소비자물가와 지가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지가는 전국 지가와 서울 지가를 구분하였다. 1974년 물가와 지가를 100으로 두었을 때 현재 물가와 지가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물가보다 지가는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올랐다. 소비자물가지수는 1965년부터 통계가 있다. 출처 :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6 정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변화율임.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지수로서 총 소비지출 중에서 구입 비중이 큰 약 460여 개 상품 및 서비스 품목들을 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조사된 소비자 구입가격을 기준으로 산정됨. 가..

통계자료 2020. 4. 18. 21:04

전세계 지난 1년 주택 가격(IMF, 2019년 3분기)

지난 1년간 주택가격의 변화 출처 https://www.imf.org/external/research/housing/ IMF Global Housing Watch www.imf.org

통계자료 2020. 4. 16. 08:55

원-달러 환율 그래프

1981년부터 2020년까지 원-달러 환율 차트 89년에는 600원대였던 때도 있고, 98년 IMF 때는 1700원을 넘은 적도 있다. 출처 https://fred.stlouisfed.org/series/DEXKOUS South Korea / U.S. Foreign Exchange Rate Sourc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US) Release: H.10 Foreign Exchange Rates Units: South Korean Won to One U.S. Dollar,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Daily Notes: Noon buying rates in New York City for cable..

통계자료 2020. 4. 14. 22:36

전국(서울) 아파트 평균/중위가격

2020년 1월 뉴스로도 많이 나온 소식이다. KB부동산 월간 부동산 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의 경우 중위가격이 2020년 1월 9억원을 처음으로 넘었다. 서울 아파트 절반 이상이 9억원이라는 말이다. (한국감정원 자료는 이보다는 낮은데, 어디가 더 정확할까?) *중위가격은 중앙가격이라고도 하며 주택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때 중앙에 위치하는 가격을 의미 **중위가격이 전반적으로 평균가격에 비해 낮은 것은 중위가격이 평균가격에 비해 고가주택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 invisiblecity.tistory.com/1524 서울시 부동산/주택 통계 자료 서울시, 전국 매매&전세 지수 서울시, 전국 매매&전세 지수 서울시&전국 매매/전세 지수 매매/전세지수 히트맵 2017년~2019년 매매 매매지수를 보면..

통계자료 2020. 4. 14. 19:52

태양광 REC 거래량 및 거래가격(평균가격)

출처 http://onerec.kmos.kr/portal/rec/selectRecReport_tradePerformanceList.do?key=1971 신재생 원스톱 사업정보 ~ 검색하기 다운로드 ※ 조회기간은 최대 3년을 넘길 수 없습니다. onerec.kmos.kr

통계자료 2020. 4. 13. 08:50

(2020년 4월 10일 발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KB부동산)

- 기준일자 : 3월 30일 - 비교일자 : 4월 6일 *자료 : KB부동산

통계자료 2020. 4. 10. 10:11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4 5 6 7 8 9 10 ··· 12
다음
TISTORY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