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08)
    • 개발사업 (333)
      • 산업단지 (165)
      • 주택사업 (88)
      • 도시개발사업 (14)
      • 지구단위계획·개발행위허가 (11)
      • 오피스 (3)
      • 리테일 (6)
      • 물류·데이터센터 (8)
      • 인허가 (7)
      • 부담금·비용 (20)
      • 공급처리시설 (7)
      • 관광시설 (1)
      • 마케팅 (2)
    • 도시이야기 (54)
      • 부동산A2Z (2)
      • 서울대장아파트 (17)
      • 도시를 바꾸는 개발사업 (9)
      • 도시계획산책 (11)
      • 도시비평 (4)
    • 일반&이슈 (38)
    • 정책·제도 (86)
    • 법률·세금 (48)
    • 부동산 (6)
    • 토지 (18)
    • 환경교통재해 (33)
    • 금융 (109)
      • 리츠 (16)
      • 투자 (47)
      • 자산운용 (46)
    • 지역 알아보기 (14)
    • 건강·지구환경 (4)
    • 기업&사람 (17)
    • 도시계획기술사 (17)
    • 중개 경매 (4)
    • 용어 (21)
    • 기술 (8)
    • 통계자료 (96)

검색 레이어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패스트캠퍼스후기

  •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12일차 미션 (6월 28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2024.06.28 by 도시연구소

  •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11일차 미션 (6월 27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2024.06.27 by 도시연구소

  •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10일차 미션 (6월 26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2024.06.26 by 도시연구소

  •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9일차 미션 (6월 25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2024.06.25 by 도시연구소

  •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8일차 미션 (6월 24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2024.06.24 by 도시연구소

  •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7일차 미션 (6월 23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2024.06.23 by 도시연구소

  •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6일차 미션 (6월 22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2024.06.22 by 도시연구소

  •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5일차 미션 (6월 21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2024.06.21 by 도시연구소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12일차 미션 (6월 28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1. 학습 인증샷 2장 이상 포함 2. 학습 후기 700자 이상 1) 유상증자 내부 유보금 → 타인 자본(차입) → 자기 자본(유상 증가) 유증은 자주 하는 이벤트는 아니다. 삼전, 현대차는 20년간 유증이 없다. 사업을 위해 꼭 필요해 유증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망하기 직전 심폐소생을 위해 유증을 하는 경우도 많다. 유상증자(有償增資)는 회사가 자본금을 증가시키기 위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고 이를 기존 주주나 새로운 투자자에게 매각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이는 기업이 추가적인 자금을 필요로 할 때, 특히 성장 계획을 위해 자금을 마련하거나 부채를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유상증자는 "유상" 즉, 대가를 받고 자본을 늘린다는 의미다. 따라서 새로 발행된 주식을 매입하려면 주주나 투자자는 대..

금융/투자 2024. 6. 28. 10:53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11일차 미션 (6월 27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1. 학습 인증샷 2장 이상 포함 2. 학습 후기 700자 이상 오늘은 주식 배당과 청산 배당에 대해 학습했다. 목적과 효과, 그리고 사례를 살펴보았다. 1) 주식 배당 주식 배당은 기업이 주주들에게 주식의 형태로 이익을 분배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주식 배당은 현금 배당과는 달리 주주들이 회사의 주식을 더 많이 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주주는 더 많은 주식을 소유하게 되어, 미래의 성장에 따른 추가 이익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주식 배당을 하면 이익잉여금이 줄어들고 자본금이 늘어난다. 자본 항목의 변화만 있지만 사실 크게 바뀌는 것은 없다. 주식 배당을 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이론상으로는 아무 효과가 없지만 실제로 미국에서는 주식 배당을 한 기업의 80%는 주가가 상승했다고..

금융/투자 2024. 6. 27. 20:59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10일차 미션 (6월 26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1. 학습 인증샷 2장 이상 포함 2. 학습 후기 700자 이상 1) 현금 배당 현금 배당(Cash dividend)은 기업이 자신의 이익에서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기업의 이익을 주주들과 나누는 방법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정기적으로 또는 특별한 경우에 지급될 수 있다. 현금 배당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현금 배당은 주주에게 현금으로 지급된다. 주식이나 다른 형태의 자산이 아니라 실제 돈을 받게 된다. 현금 배당은 주식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현금 배당은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제공하고, 기업의 경영 성과와 재정 건강을 신뢰할 수 있는 지표로 여겨진다. 기업은 배당 정책을 설정하여 배당을 결정하게 되며, 이는 기업의 재무 상태,..

금융/투자 2024. 6. 26. 15:29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9일차 미션 (6월 25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1. 학습 인증샷 2장 이상 포함2. 학습 후기 700자 이상현물 배당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삼성물산과 엘리엇 펀드의 케이스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삼성물산과 엘리엇 펀드 사건은 2015년에 일어난 한국 기업 경영권 분쟁 중 하나로, 삼성그룹의 지배 구조 개편 과정에서 발생했다. 이 사건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간의 합병을 둘러싸고 벌어진 주요 분쟁으로, 글로벌 헤지펀드인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합병에 반대하면서 크게 주목받았다.삼성물산은 삼성그룹의 핵심 계열사 중 하나로, 건설, 무역, 패션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제일모직은 삼성그룹의 모태 기업으로 시작해, 섬유, 화학, 전자 재료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면서 그룹의 사실상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었다.2015년 5월, 삼성그룹은 제일모..

금융/투자 2024. 6. 25. 13:28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8일차 미션 (6월 24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1. 학습 인증샷 2장 이상 포함   2. 학습 후기 700자 이상1) 무상감자무상감자(無償減資)는 기업이 자본금을 줄이면서 주주들에게 아무런 보상 없이 이루어지는 자본 감소 조치를 의미한다. 이는 주로 기업의 재무 상태를 개선하거나 주식의 가치와 구조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무상감자는 주로 기업의 재무제표 상 자본 구조의 조정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무상감자는 쉽게 말하면 "주식 가져와, 돈은 안줘." 이다. 자산은 200, 부채는 500, 자본은 -300이다. 자본금은 100인데, 결손금이 -400인 경우다. 주주는 유한책임이기 때문에 100만 손해보면 된다. 반면 채권자는 500을 손해보는 것으로 주주보다 채권자의 손해가 크다.  이러한 상태를 도산 상태라 한다. 부채가 자산보다 큰 상태로, 자..

금융/투자 2024. 6. 24. 21:29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7일차 미션 (6월 23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1. 학습 인증샷 2장 이상 포함 2. 학습 후기 700자 이상 1) 수권 자본 주식 수 수권 자본 주식 수(Authorized Capital Stock, 또는 Authorized Shares)는 기업이 정관에 따라 발행할 수 있는 최대 주식 수를 의미한다. 이는 회사 설립 시 또는 주식발행을 할 때 법적으로 허용된 최대 주식 수로, 실제 발행된 주식 수와는 다를 수 있다. 수권 자본 주식 수는 기업의 정관(Articles of Incorporation)이나 설립 문서에 명시된 최대 주식 수이며, 회사가 법적으로 발행할 수 있는 주식의 한계이다. 주식 발행을 통해 자본을 조달할 수 있는 최대 한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삼성전자의 수권 자본 주식 수는 250억 주이다. 보통 대형 상장 법인은 1억 주 ..

금융/투자 2024. 6. 23. 22:37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6일차 미션 (6월 22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1. 학습 인증샷 2장 이상 포함 2. 학습 후기 700자 이상 1) 자본 항목 재무제표에서 "자본" 항목은 기업의 재무 상태와 관련된 여러 중요한 요소들을 포함하며, 기업의 자산과 부채를 조정한 후의 순 자산 가치를 나타낸다. 자본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세부 항목으로 구성된다. 자본금은 주식회사가 주식을 발행하여 조달한 자본금으로, 주주의 지분을 나타낸다. 보통주와 우선주 등으로 구분된다. - 보통주 자본금 (Common Stock): 일반 주주들이 소유하는 주식의 금액. - 우선주 자본금 (Preferred Stock): 우선적 배당권을 가진 주식의 금액. 주식발행초과금(Additional Paid-in Capital, APIC)은 주식을 액면가 이상으로 발행하거나, 자산 재평가 등으로 발생하는 ..

금융/투자 2024. 6. 22. 10:40

패스트캠퍼스 환급코스 5일차 미션 (6월 21일) : 권오상의 재무제표 심화 강의 후기

1. 학습 인증샷 2장 이상 포함 2. 학습 후기 700자 이상 1) 부채 활용 전략 : LBO부채를 활용해 기업을 인수하는 방법이 있다. LBO 전략이다. 이를 잘 활용한 기업은 소프트뱅크이다.  LBO는 기업을 인수할 때, 인수 자금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자본보다는 대출을 많이 활용하는 방법이다. 즉, 인수하려는 회사의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인수 비용의 상당 부분을 충당하고, 인수 후에는 그 회사의 현금 흐름으로 대출을 상환하는 구조이다. 이 방법은 투자자가 적은 자본 투입으로 큰 규모의 기업을 인수할 수 있게 한다. 소프트뱅크(SoftBank)의 LBO(Leveraged Buyout) 전략은 회사가 인수 및 투자에서 사용하는 주요 전략 중 하나로, 레버리지(부채)를 활용해 기업을 인수하는 방식을..

금융/투자 2024. 6. 21. 22:03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보이지 않는 도시연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